2008. 9. 22. 20:08

티 스토리 애드센스 코드 삽입방법




티 스토리 애드센스 코드 삽입방법

 

애드센스를 이용하시고자 하는 분들중 html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하여 간단한 가이드를 만들었습니다. (물론 저도 잘 모릅니다. 여기저기서 배웠음)

 

일반적으로 애드센스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광고배치임과 동시에 통계적으로 수입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구역을 위주로 설명하겠습니다. 티 스토리를 선택한 이유는 티 스토리 이용자들의 상당수 사람들이 애드센스를 이용하고 있고, 그래서 이 밖의 여러 가지 팁이나 정보를 얻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1. 본문의 우측상단에 삽입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클릭률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위치이며, 주로 콘텐츠를 위한 애드센스 300*250사이즈가 가장 많이 배치되는 편임)

  <?xml:namespace prefix = o /><?xml:namespace prefix = o />

 

아래의 코드를 메모장에 복사한 후

-------------------------------------------------------

<table align="right"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tr>

<td>

 

그 다음 이 부분에 애드센스 광고코드를 삽입힌다.

 

</td>

</tr>

</table>

-------------------------------------------------------

 

그리고 블로그의 스킨 -> html 편집에 들어가서

Ctrl+F 를 누른 후 -> 를 검색한다.

 

   

<div class="article">

그리고 이 부분에 위에 있는 코드 전체를 삽입힌다.

</div>

 

 

 

 

주의 : 스킨이 깨지진 않았는지 제대로 광고가 뜨는지 반드시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을 한 후 저장할 것!

참고로 cellpadding="0"은 칸의 줄과 안에 들어간 글씨(여기서는 광고)사이의 간격을 정해주는 것임. cellspacing="0"은 여기에서는 한 칸만을 만들었지만 여러칸을 만들때에 칸과 칸사이의 간격을 정해준다(여기서 cellspacing="1"하면 테두리가 좀더 굵어진 느낌이 들것임)

 

 

 

2. 우측 사이드 바에 삽입하는 방법

(한쪽의 텅 빈 사이드바 광고로 채우는 방법으로써 대부분의 사람들이 왼손잡이가 아니라 오른손잡이라서 여기선 오른쪽 사이드바를 이용하는 경우를 소개합니다. 주로 콘텐츠를 위한 애드센스 수직 형 160*600이 많이 이용됩니다)

여기선 사이드 바에 광고를 위치시킬 때 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카테고리 바로 아래에 삽입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음.

 

스킨 -> html 편집에 들어가서 Ctrl+F 후

##_category_## 을 검색한다.

 

 

미리보기로 확인 한 후 저장한다.

 

 

 

3. 포스트 제목 상단에 삽입하는 방법

(대부분의 콘텐츠를 위한 애드센스 링크단위는 여기에 많이 배치 된다)

 

스킨편집창의 거의 처음쪽에 보시면 찾을수 있습니다. 

<!-- #### Header Start #### --> 와 <!-- #### Header End #### --> 등의 주석이 있다면 헤더 부분이 어딘지 알기 쉬울 것이고, 이런 주석이 없는 분은 <div id="header"> 를 검색하시면 이게 헤더의 시작이고 이건 </div> 로 끝나서

완성합니다. 그러니깐 <div id= 이 부분으로 검색해서 다음번 검색되는 놈까지 간다음 바로 윗줄 보시면 </div> 가 있을겁니다.

바로 이 </div>의 바로 앞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단순하게 그리면

 

<div id ="header">

.라.라 쿵쿵따

 

여기가 구글 코드 복사한거 붙이는 곳입니다.

 

</div> <---- 요놈이 중요한 놈이죠.

<div id ="side(혹은 다른거?)>

.라.라 쿵쿵따

</div>

 

이런 식 되겠습니다. 미리보기로 확인한 후 저장하면 됩니다.

 

 

 

<<좀 더 적극적으로 애드센스를 이용하는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우선 아래의 링크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광고 많이 단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http://beenee.tistory.com/2690267?srchid=BR1http%3A%2F%2Fbeenee.tistory.com%2F2690267

 

CPC - Cost Per Click - 클릭당 단가. 국내:80원~몇천원. 영어애드센스:30달러까지.(실제수익은 낮은 단가의 광고에서 나옴) 게시자가 클릭당 단가의 20~40%를 가져감.

 

CPM - Cost Per Mil - 광고가 1000회 노출될때마다 광고주가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

 

ECPM - Effective Cost Per Mil - 유효1000회 노출당 비용. CPM과 상관없이 광고가 1000회 노출되었을때 애드센스 게시자에게 돌아오는 수입 추정치.

 

PIN -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 개인식별번호. 애드센스수입이 50달러(교수님은 10달러라고 하던데...)가 초과되었을때 애드센스 계정의보호를 위해 구글에서 우편으로 보내주는 숫자. 2~4주안에 PIN을 애드센스지불내역페이지에 입력해야함. 180일내에 입력하지 않으면 계정은 삭제되며 광고수익은 광고주에게 돌아감.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2008. 9. 22. 19:58

구글 애드센스 설치법- 최상단에 설치하기




쌩초보 안내기 두번째 편 구글 애드센스 설치하기
드디어 본격적인 이야기로 들어왔습니다. 서론이 좀 길었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_-

카피한 코드를 집어 넣기위해 각자 스킨편집을 하는 곳으로 갑니다.

저는 티스토리를 쓰는데 관리자 모드에서 스킨 -> 스킨 편집을 하시면 됩니다.
가보면 *skin.html 이라고 써있는 창과 *style.css 라고 써있는 창이 있을 겁니다.
우리가 관심있게 볼 창은 *skin.html 입니다.

서론에서도 말했다시피 전 html 이거 무슨소린지 하나도 모릅니다. 찬찬히 읽다보니 규칙이 있어서 야매로
삽입하는 방법을 찾은 겁니다. 기술적으로 어떤게 무슨 명령어다 이런건 다 넘어가겠습니다.

자 스킨창을 잘 헤메고 다녀야 하는데요 여기에 나침반 구실을 하는 문구들이 있습니다.

첫째, 스킨 만드시는 분들이 달아 놓은 주석입니다.

<!-- #### 주 석!! #### -->

요렇게 생긴 녀석을 잘 찾으면 됩니다.

둘째, </div> 요놈입니다.

다른 언어들처럼 html 이놈도 모든 창을 다 열고 닫더군요 <html> 열었으면 </html> 이렇게 닫고
<div .라.라> 이렇게 열었으면 </div>이렇게 닫더군요. 그리고 우리가 넣어야할 부분은 바로 저
div 란놈으로 둘러쌓여 있는 부분 입니다.

셋째, 스킨 메뉴 이름들 입니다.

좀 무식한 방법인데, 쌩 초보를 위한 글이니 이해해 주십시요;; 딱 제 수준입니다 ^^)//
어디가 내가 넣을 위치인지 도대체 모르겠다 이러면 맥의 경우 알트+F 이고 윈도우는 컨트롤일겁니다.
저걸 누르고 메뉴 이름을 검색합니다. 요령이 있는데 만약 사이드 바에 카테고리,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등이
순서대로 걸려있고, 최근 댓글과 최근 트랙백 사이에 광고를 넣고 싶다면 최근 댓글이 들어가 있는 부분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 가까운 이름이 최근 트랙백이면 빙고인 겁니다.
저같은 생초보 눈에 읽히는 잡다한 (그러나 중요한-_-) 코드들을 다 넘기고 저 이름들이 붙어있다면 그자리가
빙고 입니다.


자 예제로 들어가 보겠습니다-_- 무조건 따라해서 끝내는 시리즈입니다 -_-)/

1. 최상단 블로그 이름 밑에 광고를 길게 넣고 싶은 경우.


제 블로그의 위 부분처럼 광고를 바로 아래 넣고 싶다면 헤더 부분을 찾아야 합니다.
거의 최상단 부분에 코드가 있을겁니다.

제 스킨에는 주석으로 친절하게 <!-- #### Header Start #### --> 와
<!-- #### Header End #### --> 등의 친절한 주석이 있어서 헤더 부분이 어딘지 알기 쉬웠습니다.
이런 주석이 없는 분은 <div id="header"> 를 검색하시면 이게 헤더의 시작이고 이건 </div> 로 끝나서
저 부분을 완성합니다. 그러니깐 <div id= 이 부분으로 검색해서 다음번 검색되는 놈 - 저같은 경우는
<div id="side">였습니다 - 까지 간다음 바로 윗줄 보시면 </div> 가 있을겁니다.
바로 이 </div>의 바로 앞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단순하게 그리면

<div id ="header">
.라.라 쿵쿵따

여기가 구글 코드 복사한거 붙이는 곳입니다.

</div>                      <---- 요놈이 중요한 놈이죠.
<div id ="side(혹은 다른거?)>
.라.라 아멘
</div>

이런 식 되겠습니다. 이해 되죠 ^^)//

2. 메인 페이지 글안에 광고를 넣고 싶은 경우.

이 부분은 애드센셜님의 애드센스를 글에 자연스럽게 배치하기 에서 배운 팁인데 삽입 방법만 다루겠습니다.
애드센셜님 포스트에서 다뤘듯이 구글에서 가져온 코드를 다른 코드 사이에 먼저 넣어야한다 바로 이것.

<div style="margin-top:40px; padding-left:5px; float:right; width:336px; position: static;">
// 애드센스 광고 스크립트를 여기에~
</div>

저 위에 나온대로 광고 스크립트 넣어서 저거 전체를 복사합니다.
그리고 글안으로 들어가서
article_rep_desc 를 검색하면 이런게 검색되는데
바로 앞에 딱 붙여주시면 되겠습니다.

저 추가 코드중에 width : 336px 부분의 숫자를 조정하면 자기 스킨에 맞게 위치를 조금씩 옮길 수 있습니다.

애드센셜님의 다른 팁으로 float:right;를 float:left; 로 바꾸면 왼쪽 맞춤이 된다고 합니다 ^^

3. 본문에 달린 댓글 쓰는 란 앞에 광고를 넣고 싶은 경우.

이건 관련 글이 없어서 좀 삽질한 부분입니다. 일단 주석이 많이 달리신 분들은 <!-- comment write--> 을
검색해보자 나오면 바로 빙고입니다.
아니신 분들은 <div class="cmt_form_box"> 을 검색하시고 바로 뒤에 붙이면 됩니다.
사실 아는게 없이 그냥 삽질 끝에 안것이므로 할말은 별로 없습니다 하하;;

4. 사이드바 부분에 광고를 넣고 싶은 경우.

다 비슷한 방식이니깐 이제 저같이 생초보 분들도 패턴을 파악하셨을겁니다 ^^
<!-- #### Side Start #### --> 이런 문구나   <div id="side"> 이런 문구를 검색하시면
그곳이 바로 사이드바 관련 코드 덩어리의 시작부분입니다. 이 뒤로 잘 살펴 보면 사이드바의 메뉴들이
일정한 규칙속에 이름만 바뀐걸 알수 있습니다. 제 코드를 예로 들어보면,

      <div class="sidebar_title" >TAGS</div>
      <div class="td_info" id="block3" style="display:block;">
        <s_random_tags> <a href="" class=""></a> </s_random_tags>
      </div>
    <div class="sidebar_title" >Recent Entries</div>
      <div class="td_info" id="block4" style="display:block;">
        <s_rctps_rep> <a href="" class="info_link"> </a> <font class="ps_cnt"></font><br>
        </s_rctps_rep>
      </div>   
<div class="sidebar_title" >Recent Comments</div>   
 <div class="td_info" id="block5" style="display:block;">
        <div id="recentComments">
          <s_rctrp_rep> <a href="" class="info_link"> </a><br>
            <span class="f11 gray3"> - </span><br>
          </s_rctrp_rep>
        </div>
<<<<<<<삽입할 부분>>>>>>>
</div>

      <div class="sidebar_title" >Recent Trackbacks</div>
      <div class="td_info" id="block6" style="display:block;">
        <div id="recentTrackbacks">
          <s_rcttb_rep> <a href="" class="info_link"> </a><br>
            <span class="f11 gray3"></span><br>
          </s_rcttb_rep>
        </div>
      </div>

규칙이 보이시나요? 저 녹색 굵은 글씨가 바로 메뉴들입니다.
만약 Recent Commants 와 Recent Trackbacks 사이에 사이드 바를 넣고 싶으면 삽입할 부분
에 광고 코드를 삽입하면 됩니다. 다른 부분은 같은 패턴으로 ~ 아시겠죠 이제 ^^/

포스트가 길어져서 다음편에 주의 사항과 다른 광고 단위들에 대해 잠깐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HP PLAY :: 네이버 카페
이 글은 캡쳐화면이 내 블로그에 자동저장되는 캡쳐업로더로 작성된 문서입니다. 자세히

2008. 9. 22. 13:42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서론
1.       조직 내의 업무처리의 생선성을 분석한 결과 업무 처리의 전체시간 중에 단지 10%만이 업무자체에 소요되고 나머지 90%의 시간은 업무간의 전이 또는 전달시간에 소요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업무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생산성 향상 문제로 정보기술의 초첨이 바뀌게 된다. 이러한 사실이 곧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과 자동화를 통한 업무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두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최근 2000년대에는 프로세스중심의 정보기술(BPM)이 핵심으로 등장하였다.


 
2.       워크플로우관리 기술과 웹서비스 기술 그리고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통합 기술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프로세스관리기술은 바로 프로세스중심 정보기술의 핵심기술이다.
3.       조직 내의 대표적인 프로세스기반 정보기술 인프라인 EAI기술 및 워크플로우 기술과 조직간의 정보관리 및 통합을 위한 대표적인 인프라인 웹서비스 및 ebXML기반의 비즈니스프로세스기술의 효율적 통합이 더욱 요망되고 있다.
 
BPM 기술의 정의
-         WfMC : BPM의 정의는 워크플로우 기술에 EAI 또는 WS 기술을 접목시킨 개념 즉, 워크플로우 중신의 프로세스 자동화
-         BPMI, W3C : 웹서비스 중심의 프로세스 협업 기술
-         일반적인 인식 : BPM 기술이 프로세스 기반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한 축이다!
 
“BPM 기술은 워크플로우 기술과 EAI 기술 그리고 웹서비스 기술의 통합 솔루션이다.”
 
기존 솔루션에서 바라보는 BPM의 관점
Ø         전통적인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인 워크플로우 솔루션 관점 : BPM을 워크플로우 기술의 확장 개념으로 정의한다. 워크플로우 기술은 이기종 솔루션 간의 연동과 응용프로그램(EAI)과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두 가지 연동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웹서비스 기술을 이용하며, 따라서, BPM의 최종목적인 조직내 프로세스와 조직간 프로세스의 통합을 구현할 수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à WfMC에서 OASIS 기반으로 Wf-XML 2.0발표
Ø         웹서비스 솔루션 관점 : 프로세스 기반 웹서비스 솔루션을 BPM기술이라고 정의 한다, BPEL(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로 표현된 웹서비스 프로세스의 실행을 구현하는 솔루션으로 BPM 기술을 정의한다.
Ø         기업응용프로그램 통합 솔루션 관점 : 프로세스 기반 기업응용프로그램 통합 솔루션을 BPM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BPMS(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시스템의 구성요소
Ø        모델링 서비스 부분 :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모델링을 담당하는 부분
Ø        엔진 서비스 부분 :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실행을 담당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및 시스템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Activity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Activity들 간에 상호 제어순서 상의 선행 관계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Activity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인간의 행동을 통해 구현 및 실행될 수 있으며, 이의 실행을 위한 사전 정보(Input Repository)와 실행 후의 사후 정보(Output Repository)가 정의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 Activity의 실행 및 접근 권한을 정의하기 위한 조직 정보가 할당되어야 하는데, 이는 그 Activity의 실행을 담당할 Role과 그 Role에 대항하는 Actor 또는 Group을 할당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엔진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실행, 제어, 감시 및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핵심구성요소이다. 실행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실행객체들의 관리를 지원하는 미들웨어 플렛폼, 실행객체들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호출 메커니즘, 그리고 엔진의 실행객체 자체들을 구성하는 아키텍쳐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엔진의 성능이 결정된다.
엔진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엔진 실행 객체를 구성하는 아키텍처의 구성방법에 있다.
Ø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각 Activity가 엔진의 실행 객체로 구현되는 Activity기반 아키텍처
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의 인스턴스 또는 워크케이스를 엔진의 실행 객체로 구현하는 워크케이스 기반 아키텍처
 
런타임 클라이언트
 
런타임 클라이언트는 최근에 인터넷 및 웹의 기능과 성능이 급속하게 향상되면서 웹기반으로 구현되는 것이 전반적인 상품화 시스템의 추세이다. 런타임 클라이언트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1.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
2.       실행되고 있는 인스턴스들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부분
3.       Activity들의 실제적인 구현인 응용 프로그램과의 연동 부분
4.       각종 사용자 역할에 따른 접근 제한 기능 등
 
차세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과 주요 연구개발 이슈
 


 
최근의 정보기술 인프라는 조직 내와 조직 간 정보기술 인프라들 간의 통합과 정보관리기술과 정보통합기술들 간의 통합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자세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다.
차세대 정보기술의 최종 모습은 결국 웹서비스 기반의 정보기술 인프라로 수렴되어, 조직 내 및 조직 간 통합프로세스기반 정보관리 및 정보통합을 구현하는 웹서비스기반의 차세대 워크플로우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이 될 것이다.
차세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기술을 구성하는 주요 시스템들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Ø        EAI 기반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 조직 내의 프로세스 기반 정보관리 및 정보통합 기술
Ø        ebXML 기반의 비즈니스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 조직 간의 프로세스기반 정보관리 및 정보통합 기술
Ø        WS기반의 차세대 워크플로우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 조직 내 및 조직 간의 통합프로세스기반 정보관리 및 정보통합 기술